호흡 근육들 하면 어떤것들이 생각나시나요??

연관 단어로는 복식호흡, 흉식호흡, 복근, 조금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횡격막 이런 단어들을 떠올리십니다.

오늘은 호흡의 주요근육 그리고 보조근육들, 근육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2가지로 나눠볼게요

1. 외인성 근육

2. 내인성 근육


외인성 근육은 몸통의 위치를 결정하는 어깨, 팔, 목 및 머리의 공간에 배치된 근육입니다.

내인성 근육은 흉추, 흉곽을 움직이며 호흡과 관련된 근육이죠.


흡기근육

1.일차 근육

횡격막, 내늑간근, 외늑간근, 늑골거근, 사각근


2.보조 근육

흉쇄유돌근, 상부승모근, 전거근, 광배근, 상후거근, 흉장늑근, 쇄골하근, 견갑설골근이 있습니다.


호기 근육

1.일차 근육

폐의 탄성 반동, 복부근육, 흉막 및 늑연골


2.보조 근육

골간 내늑간근, 흉횡근, 늑하근, 요장늑근, 요방형근, 하후거근, 광배근

이 있습니다.



물론 근막경선해부학을 보면 모두를 연결하는 형태의 연속성을 이루기도 합니다.

외복사근, 내복사근에서부터 전체 몸통에 이르는 나선형과 유사한 경사진 텐션라인을 따라 회전성 구성요소를 제공하고 교차형 패턴을 만듭니다.

복부 근육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1. Richardson은 호기가 끝날 무렵 복부 근육이 활성화 되어 있음을 발견하고 

복부 근육의 수축은 횡격막의 길이, 호기 말 폐 용적 및 호기 공기 흐름의 조절에 기한다고 하였습니다.


2. 숨을 내뱉는 힘을 수의적으로 증가시키면, 복부의 모든 근육이 동시에 수축합니다.

불수의적으로 숨을 내뱉는 힘이 증가하면 다른 복근이 참여하기 전에 복횡근이 참여를 하여 횡격막의 길이를 증가시키고 흉강의 탄성반동이 일어나게 하여 흡기 효율을 향상시킵니다.


3. 복부 근육은 흉부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체 전체를 회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복횡근은 척추 안정화와 분절간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4. Hodges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및 복횡근은 복강 내 장기의 위치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늑골을 하강시켜 강제 호기(기침)을 도와줌으로써 호흡에 관여한다 하였습니다.



이번에는 늑간근육의 역할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일반적으로 늑간근육은 외늑간근은 흡기 근육, 내늑간근은 호기 근육으로 간주 되었습니다.




Stone은 관련된 과정이 훨씬 복잡하고 흉강내에 공기와 체액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하였죠.

"흡기와 호기동안 흉곽 모양의 필요한 변화를 만들기 위해 흉곽의 한쪽 끝에서 시작하여 다른곳으로 진행하는 늑간근내의 활성의 흐름이 있다." 라고 서술하였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흡기 동안에는 외늑간근이 위에서 아래로 활성화되고, 강제호기 동안 내늑간근이 아래에서 위로 활성화 됨을 발견하였습니다.

늑간근이 아래방향으로 순차적인 수축을 하기 위해서는 사각근이 관련된 상부 늑골의 안정화가 필요합니다.

반대로 강제호기 동안에는 윗 방향으로의 흐름이 일어나기 위해 요방형근에 의해 하부 늑골의 안정화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근육의 불균형은 정상적인 호흡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근육과 근막의 추가적인 영향과 연결성


흉부와 골반 사이를 연결하는 연부조직에는 요방형근, 복횡근 및 요근과 같은 주요 구조물을 포함하며 이는 횡격막과 합쳐져서 호흡기능에 잠재적인 영향을 줍니다.


내복사근과 외복사근도 횡격막과 하부 늑골에 합쳐지며 호흡기능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횡격막과 호흡 기능장애는 반대로 이 연관된 근육에 영향을 끼치죠.


일차적인 호흡근육은 횡격막, 바깥 쪽의 외늑간근, 흉골 옆의 내늑간근, 사각근 그룹 및 늑골거근이며 횡격막이 흡기 힘의 70~80%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근육들은 대사량이 증가하는 동안 보조 호흡근에 의해 도움을 받거나 역할이 대체됩니다.


보조호흡근육은

흉쇄유돌근, 상부승모근, 대흉근, 소흉근, 전거근, 광배근, 상후거근, 흉장늑근, 쇄골하근 및 견갑설골근등이 있습니다.


Page는 

'횡격막의 정점에서 두개골의 기저부까지 근막의 직접적인 연속성이 있다.'

섬유성 심장막을 지나 위로 심부 목 근막을 통과하여 접형골, 후두골, 측두골의 바깥면으로 이어지고, 또한 두개골 기저부의 대후두공에서 혈관과 신경을 둘러싸면서 경질막으로 이어진다'

근막의 연속성에 대한 이런 설명은 어느 한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아니라 전체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죠.


거북목으로 경추의 위치가 변하거나 횡격막의 위치가 정상위치에서 벗어나면 호흡기전의 기능적 효율성이 손상 받을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